|
| 학생들에게 상세한 강의계획서를 주고 그것에 관해서 자주 언급한다. |
|
|
| 간단한 진단 시험이나 짧은 질문지를 통해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 본다. | |
|
|
| 강의를 시작하면서 무엇을, 왜 말하려고 하는지 학생들이 알게 한다. |
|
|
| 자세하게 적어주려고만 하지 말고, 학생들과 시선을 접촉하면서 그들이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. | |
|
|
| 칠판에 판서를 할 경우, 판서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점검한다. 교실 뒤에서도 보이는지, 읽기 쉬운지를 점검한다. | |
|
|
| 강의 중에 학생들에게 질문을 한다. 질문을 하면 학생들은 더 능동적으로 학습 과정에 참여한다. | |
|
|
| 학생들에게 작은 과제나 퀴즈를 자주 주어서, 그들이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 점검하고, 학생들에게도 자신의 상태를 알게 한다. | |
|
|
| '자 이제 이건 여러분이 다 알죠'(많은 수는 모른다.) 혹은 '이거 몰라요?'(스스로 멍청하다고 느끼게 된다.)와 같은 말은 하지 않는다. | |
|
|
| 강의를 마무리하며 학생들의 질문을 받기 위해 5분 정도를 남겨 둔다. |
|
|
| 학생들이 작은 스터디 그룹을 형성하도록 장려한다. 작은 팀 과제를 주어서 서로 알고 지내도록 도와준다. | |
|
|
| 학기 중에 한두 번 정도,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질문을 한다. 두 세 개 정도 질문을 하고 답변을 적어 내 달라고 한다. 질문의 예로 '수업 내용 중 아직 모르는 것이 있나요? 있다면 무엇인가요?', '이 수업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할 것이 있나요?' 등이 있다. | |
|
|
| 학생들의 피드백 내용을 다음 수업 시간에 알리고, 바꿀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이 무엇인지, 바꿀 수 없는 것 에 대해서는 왜 바꿀 수 없는지를 밝힌다. | |
|